데이터 분석/웹 스크래핑

[Web Scrapping] Web 구성 요소 - 2

eunnys 2023. 10. 30. 13:23

중첩된 HTML 요소

- ML 요소는 중첩될 수 있다. 이는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.

 

 

닫는 태그를 생략하지 않는다

- 닫는 태그를 생략한 경우에도 일부 HTML 요소는 올바르게 표시된다.

- 하지만 의도치 않은 결과와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닫는 태그를 생략하지 않는 것이 좋다.

 

<html>
	<body>
	<p>This is a paragraph
	<p>This is a paragraph
  </body>
</html>

 

 

빈 HTML 요소

- 컨테츠가 없는 HTML 요소를 빈(empty) 요소라 한다.

- 태그 <br>은 줄 바꿈을 정의하며 닫는 태그가 없는 빈 요소이다.

 

<p>This is a <br> paragraph with a line break.</p>

 

 

HTML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

 

- [참고] HTML 태그 리스트: https://www.javatpoint.com/html-5-tags 

 

HTML 5 Tags - javatpoint

HTML 5 tags with examples, forms, input, text, anchor, image, heading, marquee, textarea, paragraph, title, quotes, code etc.

www.javatpoint.com

 

 

HTML 속성

  • HTML 속성은 HTML 요소에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.
  • 속성은 항상 시작 태그에 지정된다.
  • (권장) 속성은 일반적으로 name="value"와 같은 이름/값 쌍으로 제공된다.
  • (권장) 속성의 이름은 소문자를 사용하고 속성 값은 항상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묶는다.

 

href 속성

- 태그 <a>는 하이퍼링크를 정의한다. 속성 href는 링크가 이동하는 페이지의 URL을 지정한다.

<a href="https://www.trafecampus.com">TradeCampus에 방문하기</a>

 

src 속성

- 태그 <img>는 HTML 페이지에 삽입하는 데 사용된다. 속성 src는 표시할 이미지의 경로를 지정한다.

<img src="img_girl.jpg">

 

width와 height 속성

- 태그 <img>에는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(픽셀 단위)를 지정하는 width와 height 속성을 포함한다.

<img src="img_girl.jpg" width="500" height="600">

 

 

HTML 주석

  • HTML 주석은 브라우저에 표시되지 않지만 HTML 소스 코드 내에는 포함된다.
  • 주석은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일시적으로 숨기거나 나중에 처리해야 할 일을 메모해 놓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.
  • 다음 구문을 이용하여 HTML 소스에 주석을 추가할 수 있다.
<!-- 여기에 주석 작성 -->

 

 

HTML 스타일

  • HTML style 속성은 색상, 글꼴, 크기 등과 같은 요소에 스타일을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.
  • style 속성의 구문은 다음과 같다.
<tagname style="property:value;">

 

 

배경색

- background-color속성은 HTML 요소의 배경색을 정의한다.

<body style="background-color:powderblue;">

 

 

텍스트 색상

- color 속성은 HTML 요소의 텍스트 색상을 정의한다.

<h1 style="color:blue;">This is a heading</h1>

 

 

글꼴

- font-family 속성은 HTML 요소에 사용할 글꼴을 정의한다.

<h1 style="font-family:verdana;">This is a heading</h1>

 

 

텍스트 크기

- font-size 속성은 HTML 요소의 텍스트 크기를 정의한다.

<h1 style="font-size:300%;">This is a heading</h1>